겨울철 한파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 |||||||||||||||||||||||||||||||||||||||||||||||||||||||||||||||||||||||||||||||||||||||||||
제주농업기술센터(작물보호 760-7765~7)
【주요 작물별 관리요령】 ○ 추운 날씨가 계속되는 경우 중산간 지대 냉기류 침체지역은 모닥불 피우기를 실시하며, 눈이 쌓일 경우 가지가 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눈 떨어내기 작업을 실시한다. ※ 찬 공기가 오래 정체되는 곳은 눈이 쌓이면 언 피해(동해)를 막아 주므로 눈떨기 작업 생략 ○ 감귤원은 수세회복을 위하여 요소비료 0.2~0.3%액을 엽면 시비하고, 저장고는 이른 아침에 환기를 하여 찬 공기가 저장고내로 유입 되도록 하여 부패과 발생을 억제한다. ○ 노지채소류는 습해 및 언 피해가 나지 않도록 물뺄도랑을 설치하여 포장이 과습 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특히 겨울철 습해에 약한 보리는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하고 만일 습 해피해를 받은 포장은 요소 0.3~0.5%액을 엽면 시비한다. ○ 겨울철은 항상 강풍 및 대설에 의하여 비닐하우스는 파손이 우려되므로 버팀줄, 비닐 고정끈 등을 점검 보완 실시하여 피해를 입지않도록 사전 예방한다.
【참고자료】 □ 온주밀감의 극기온 지속시간별 피해형태
※ 온주밀감의 추위에 의한 고사 한계온도 : -10℃
□ 온주밀감에서의 부위별 추위 견딤성
□ 엽채류 언 피해 유발온도
※ 지역별 최저기온 현황(2. 13일 현재 - 제주농업기술센터 조사)
|
겨울철 한파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2-14 00:00:04
- 조회수
-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