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제주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노지감귤은 착과량 적을 때 대과 발생이 많이 됩니다.
대과 발생을 줄이는 방법은 나무별 착과량을 예측하여 많이 달릴 나무와 적게 달릴 나무를 구분해서 전정 시 예비지 설정을 적절하게 해주셔야 합니다.
많이 달릴 것으로 예상되는 나무는 전정시기를 2월하순 ~ 3월상순부터 시작하여 절단전정 위주로 꽃피는 양을 줄이고 봄 순이 나올 가지를 50개 이상 만들어 주어 충분한 예비지를 확보해야 하며,
적게 달릴 나무는 전정시기를 4월로 늦춰주고 꽃봉오리 발생 상황을 보면서 솎음전정 위주로 실시하고 열매 달렸던 가지 중 40~50%정도 봄순 나올 가지를 만들어 줍니다.
해마다 수량 변동폭을 20% 이내로 최소화하여 대과 발생을 줄여야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중소과를 생산을 위해서는 1/2 격년결실을 선택하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과일 속껍질(양낭피)이 차이는 동일한 품종이라면 나무 세력, 식재된 토양특성, 착과지, 비료량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현됩니다.
제주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팀(760-7761~2)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