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겨울철 한파대책 농작물 관리요령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12-11 00:00:01
조회수
398
담당부서
연락처

겨울철 한파대책 농작물 관리요령

 

1. 노지감귤

예상되는 피해
 ○ 추위에 의한 감귤나무 낙엽 및 가지가 말라죽거나 저장감귤 언피해
 ○ 새로 심은 나무와 어린나무의 지표면에 분포된 잔뿌리 고사 및 낙엽
 ○ 한라산에 적설량이 많을 경우 찬공기가 머물러 피해 발생.

피해 방지대책
 ○ 감귤나무 밑에 산야초나 농산부산물을 깔아주어 뿌리 보온
 ○ 북서계절풍을 직접 받거나 찬 공기가 흐르는 지역은 나무싸주기 실시
 ○ 방풍수가 배게 심어져 있어 차가운 공기가 머무르는 과원은 반드시 방풍수를 정리하여
     밀폐율 70 - 75% 정도로 유지
 ○ 모닥불 피우기 : 폐타이어, 장작 등을 미리 준비하여 이른 새벽에 실시
  - 기상예보에 따라 기온이 낮고 맑은 날씨가 예보되어 서리가 내릴 경우 아침 4시∼6시경
    (10a당 1∼2개소)에 실시 ※ ´´90년 동해 지역은 반드시 실시
 ○ 나무의 수세 회복을 위하여 요소 200배액을 2∼3회 잎에 살포
 ○ 완숙퇴비 시용 : 1,500kg/10a 이상을 주어 뿌리 활력 증대
 ○ 폭설이 내릴 경우 가지 부러짐 방지를 위하여 눈떨기 작업 실시
  - 적설량 5cm 인 경우 1평당 1.25 ∼ 2 kg의 무게를 가짐
  ※ 찬공기가 오래 침채되는 곳에 눈이 쌓일 경우 언피해를 막는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눈떨기 작업을 생략
 ○ 저장고는 이른 아침 환기를 철저히 하여 부패과 발생을 억제

2. 하우스 작물 및 시설

예상되는 피해
 ○ 겨울철 강풍 및 폭설에 의한 하우스 골조와 비닐 파손
 ○ 한파에 의한 기온 급강하시 저온피해로 작물의 생육 장해 발생
 ○ 일조부족, 저온다습, 환기불량에 의한 생육장해 및 곰팡이성 병해 발생
  - 하우스감귤은 16℃이하가 되면 생리적 장해가 시작되므로 최소한 10℃ 이상 유지

피해 방지대책
 ○ 버팀줄 및 비닐 고정끈 점검 보완 실시로 비닐 등 파손 사전 예방
 ○ 가온하우스는 열풍기 작동 여부 사전 점검 및 충분한 연료 확보
 ○ 무가온 하우스는 보온을 위하여 2-3중 피복 실시 등 보온대책 마련
 ○ 하우스 지붕 눈 쓸기 작업 실시로 골초파손 사전방지

대설에 비닐하우스 안전관리
 ○ 눈의 무게
  - 눈의 밀도는 0.1정도로 가벼워 10mm의 비는 눈으로 쌓이면 100mm가 된다.
  - 쌓인 눈은 시간이 지나면 다져져서 무겁게 되어 밀도가 0.4정도로 커진다.
  - 눈의 밀도를 0.3이라 하면 1cm의 적설은 1㎡에 3kg의 무게가 되어 50㎡넓이의 하우스
     지붕에 50cm의 눈이 쌓인 경우에는 눈의 무게는 7.5톤이 된다.
 ○ 비닐하우스 경사에 따른 눈의 무게
  - 비닐하우스 경사도에 따른 눈의 무게는 다음 표의 비율처럼 경사도에 따라 각각 상이
     하게 하중을 받는다.
 ○ 적설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붕괴위험성
  - 비닐하우스의 규격, 자재의 종류, 단동/연동 유무에 따라 내구성은 달라지게 되는데
     비닐하우스의 경사가 20도 정도이고 약 10cm이상의 적설이 예상될 때는 붕괴의 위험이
     따르므로 경계를 취해야 한다.
  - 예상적설량이 10cm를 초과가 예상될 때는 난방시설을 가동하여 비닐하우스의 지붕에
     쌓인 눈이 녹아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거나 눈쓸기 작업을 해야한다.

3. 노지채소류

예상되는 피해
 ○ 저온에 의한 언 피해, 겨울배추 통터짐으로 상품성 저하
 ○ 중산간지대 무가 얼어 상품성 상실
 ○ 강우 및 적설에 의한 과습 및 저온에 의한 피해

피해 방지대책
 ○ 겨울배추 묶어주어 통터짐 방지 및 무 수확 저장
 ○ 물 뺄도랑 설치로 습해 및 언피해 방지

4. 맥 류

예상되는 피해
 ○ 논보리 포장은 습해에 의한 뿌리활력 저하 및 잎에 황화현상 발생

피해 방지대책
 ○ 물 빠짐골을 깊게 정비하여 습해 예방
 ○ 잎이 노랗게 되는 황화현상이 발생한 곳은 요소 100∼200배액 살포

담당부서
총무과 
담당자
총무과
연락처
064-760-7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