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
- 현ㅇㅇ
- 작성일
- 2016-06-01 21:30:45
- 조회수
- 2,678 회
- 상태
- 답변불필요
- 담당부서
-
담당 부서가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농업 발전에 애쓰시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기존 교육은 귀농귀촌 관련이나 재배 작물, 농기계 교육 등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나 관수할때 배관이나 용접, 난방 열풍기, 휀, 제습기 관리요령 같은 교육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관련하여
하우스를 경영하려면 기본적으로 전기 시설이 들어옵니다.
가끔 전기 누전이나 과전류로 인한 하우스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사실 농민이 전기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에 그냥 설치한데로 사용하다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고 부식되어 누전이 일어나거나 정확한 차단기 용량을 몰라 과전류로 인한 정전 같은 피해를 봅니다.
가장 기본적인 전기관련 교육이 필요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용접관련하여
전문가 같이 스텐용접이나 등등 이런게 필요하리라고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아주 가끔 농사용 기계를 수리하거나 하우스 시설 보수 할때 필요한데 전문가를 부르려니 인건비가 만만치 않고 한두군데 손보면 될일을 비싼 인건비를 들여가면서 수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주 기초적인 기본상식과 철끼리 용접하는 정도만이라도 교육을 받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난방기 관련하여
저희 집도 몇년전에 열풍기 과열로 인하여 하우스 화재 피해를 입었습니다.
사실 열풍기 관리요령정도만 알고 있었더라도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난방도
전기 난방, 지하수 난방, 목재 팰릿 난방, 열풍기 난방 등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저희집도 전기, 지하수, 중유 열풍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각각 관리요령도 틀리고 사용방법도 틀립니다.
너무 전문적이지 않게 작동원리라든가 안전점검 하는 방법 등을 교육해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배관관련하여
제가 생각하기로는 농업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시설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우스안에 배관은 전문 자격증이 없어도 그냥 설치되는 시설입니다.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 시공해야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간단한 예로
보통 하우스 안에는 새들을 이용하여 시설합니다.
새들의 문제점은 나중에 부식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한번 설치할때 좋은것 부식의 위험이 없는것으로 설치를 한다면 추후의 자재비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배관 자재 관련하여 관의 종류, 부속 종류, 쿨러종류, 등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자재를 이용하여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양액재배 할때 쓰는 스틱의 종류라던가 이런것 까지 포함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양수기, 펌프 등 작동원리와 각각 어떠한 곳에 사용이 되어야 하는지, 펌프 규격은 어떻게 보는 것인지 등등 관련하여 교육부탁드립니다.
쓰다보니 서두 없이 쓰여진것 같습니다.
이번에 FTA보조사업을 통하여 하우스를 설치하려다 보니 신경 쓸일이 많습니다.
관련하여 생각나는 대로 적은점 이해해 주시구요.
한번 설치하면 10년 20년은 계속 이용해야 하는 장비들입니다.
설치할때 작업동선을 생각해서 설치하고 자재가 비싸더라도 설치할때 좋은 것으로 설치하면 추후 보수하는 일이 적게 설치되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다보니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바로 교육과정이 생기리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반기나 내년에 꼭 교육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