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봉온도관리
작성자
강ㅇㅇ
작성일
2022-04-29 15:32:24
조회수
1,437 회
상태
완료

담당부서
  • 농업기술원>기술지원국>기술지원조정과
안녕하세요? 무가온 한라봉 재배시 한라봉 꼭지깃 발생을 위한 온도관리 방법문의 입니다. 2022년 제주농업기술원 동영상(양창희 강사) 교육자료를 보면 꼭지깃 발생을 위해서는 백화기~낙과기 기간에 주간 30도 이상의 온도관리가 필요하다 하고 서귀포 농업기술원 2021, 2022교육강의 자료에는 주간 최고 25도로 관리하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개폐기 온도가 실제 관리 온도가 아닌건 알지만 두 기술원에서 권장하는 온도편차가 너무 커서 혼란스럽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한라봉온도관리 답변
작성자
기술지원조정과
답변일
2022-05-04
담당부서
연락처
064-760-7531

농업기술원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한라봉 꼭지깃 발생과 관련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한라봉의 꼭지깃은 한라봉 품종의 고유 품종 특성으로 상품성을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됩니다.

한라봉 품종의 고유한 특성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오는데 나무의 수세, 착과량 , 기상 등에 의해서 발생율이 차이가 납니다.

수세가 강할수록 꼭지깃 발현이 잘됩니다. 따라서 나무의 수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 하셔야 합니다.

꽃이 많이 피고 기형화가 많고, 총상화에 착과되면 꼭지깃 발현이 잘 안됩니다.

수세를 강하게하고 꽃은 단생 유엽화로 피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주야간 온도차를 15℃정도 차이나도록 관리하면 발현이 잘됩니다.

여기서 주야간 온도차란 야간온도 15℃를 기준으로 설정한것이며, 따라서 주간온도는 30℃ 정도가 되도록 백화기부터 1차 생리낙과 종료시 까지 관리하여 주면 꼭지깃 발현이 잘됩니다.

2차 생리낙과기에 주간온도가 30℃ 이상이 되면 생리낙과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시기를 잘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한번 농업기술원 홈페이지 방문에 감사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감귤원예팀(760-7531)로 전화주시면 성실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답변 평가 하기

로그인 후 답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