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순서대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1. 감귤나무 수지병의 발병 원인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감귤 나무 수지병의 원인은 겨울철 동해피해입니다.특히 나무수세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년도 과다착과한 나무의 경우 나무에 축적된 양분이 없이 겨울을 나게 되면 동해에
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생님의 과원인 한경 저지리의 경우는 겨울철 냉기가 침체되어
피해가 더욱 악화 될수도 있는 지역입니다. 점적을 하지 않은 타이백 농법의 경우 토양수분
부족으로 양분이 나무로 흡수되지 않아 수세가 약해 질수 있으므로 겨울철 동해로 인한
수지병 발병 확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 양분은 수분에 의해 이온의 형태로 흡수되기 때문이죠.
친환경 농법의 경우 비료성분이 적어 나무 내의 양분 집적이 적어 수지병 발병우려가 있습니다.
방제횟수와 수지병은 연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주지 또는 아주지 부근에서 발병할 경우 이를 처방할 방법이 있는지요.
(접목 상단 주지에서 발생시 절단외 방법이 없다 들었는데 맞는지요.)
3. 감귤나무 수지병에 걸린 경우 평균적으로 나무가 고사할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요.
답변) 2번과 3번은 함께 답변 드리겠습니다. 일단은 수지병 발병 부위를 긁어 내고 톱신페스트를 발라
주는데 발병부위가 나무 가지 중심까지 파고 들었다면 그 나무가지의 소생가능성은 낮다고 생각
합니다.
4. 나무에 수지병이 발병하게 되면 증상을 언제부터 알수 있는지요.
(외형적 특성이라던지 말입니다.)
답변) 수지병 발병증상 초기는 겨울을 난 후 가지에서 수분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가지껍질이 벗겨지는 증상으로 알 수 있습니다.
5 잡초를 잘라내는 초경재배 농법이 수지병과 연관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잡초들이 자라 주지 부근을 덮는다는지 잡초 키가 높은 경우등)
답변) 초생재배와 수지병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데 양분경합부분에 있어서는 연관이 있을 것 같네요.
감귤 나무가 흡수할 양분을 초생재배 초종이 흡수 할 경우는 감귤나무의 양분 흡수량이 적어 단기적인
수지병 발병을 높일 수는 있습니다. 초종 선택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들묵새 같은 초종은 오히려
유기물을 토양에 공급하는 효과가 있어 양분경합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 초종은 양분 경합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