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영농상담코너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천혜향 피해증상에 대한 답변입니다.
선생님 과원의 천혜향은 전반적으로 지상부(잎)과 지하부(뿌리)의 불균형에서 오는 증상으로 보여집니다.
천혜향은 품종 특성상 상단부에 새순이 밀집하여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발생한 새순량은 많은 반면
뿌리량이 적어 뿌리로 빨아들이는 흡수량보다 잎으로 증산하는 양이 많아 나타나는 증상으로 여겨집니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새순발생기에 봄순 1개에 여름순 4개 이상 발생하는 순에 대해서는
여름순을 2∼3개로 줄여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감귤에서 새뿌리가 나오는 특성을 보면
새순이 먼저 발생하고 새순이 굳어지면서 새뿌리가 발생합니다.
새뿌리 발생 조건을 좋게 해주시는게 좋은데 새뿌리 발생을 좋게 하려면 과습한 토양은 금물이며 적정
수분을 유지해 주는게 좋습니다. 벼짚, 부숙 유기물, 파쇄목 등을 토양에 피복해주는 것도 적정수분
유지에 좋다고 생각됩니다.
2. 비가림 하우스내 왕겨 사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토양에 깔아주는 재료로 파쇄목, 유기물, 벼짚, 왕겨 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유기물 공급효과, 적정한
토양 수분유지, 잡초발생 억제 등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미숙 유기물의 경우 암모늄가스 발생의 피해가 있으므로 잘 부숙된 유기물을 이용해 주시고,
새 왕겨는 생육 억제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1년 이상 보관하여 생육 억제물질이 분해 된 이후에
활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궁금한 사항은 저희 농업기술원이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셔서 상담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