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농업의 역사 - 농촌진흥청이 중심에 있다
- 영농현장모니터위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
1960년대 - 국가 농업연구지도 체계 도입
중앙, 지방, 농협 등의 지도기능을 통합하여 효율성 제고
농촌진흥법 제정 및 농촌진흥청 개청(1962년)
품종개량 및 병해충 조사 연구 등 기반기술 도입
1970년대 - 녹색혁명 : 식량증산 / 지도,보급 강화
통일벼 개발 및 보급으로 식량 자급자족 달성
농촌주민의 식생활 개선 및 영양향상에 주력
1980년대 - 백색혁명 : 농업의 계절성 극복 / 노동생산성 향상
비닐하우스 및 멀칭재배 기술로 사계절 신선채소 공급
경운, 정지부터 수확까지 기계화 및 관련농법 개발 보급
1990년대 - 품질혁명 : 고품질 / 저비용 생산기술
UR, WTO등 시장개방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 투자 확대
고품질 원예 품종 개발 및 보급, 농축산 자동화 규모화
2000년대 - 지식혁명 : BT IT NT 등 첨단과학 접목 녹색 기술
수출, 친환경, 기능성 등 고부가치의 블루오션 준비
IT BT ET NT 등 첨단과학 접목 녹색 기술 접목으로 부가가치 향상
2010년대 - 가치혁명 : 친환경, 건강기능성, 고부가치
약식동원( 약과 음식은 그 근본의 같다) 시대
감성농업, 치료농업, 신소재 고부가 첨단농업으로 진화
계사년 - 변화하는 시대 새롭게 역동적으로 활동 하겠습니다.
--- 한국영농현장모니터위원중앙연합회 감사 : 南松 이정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