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귀하께서 질의해주신 사항에 대하여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검은점무늬병을 방제하기위해 다이센을 진딧물, 귤굴나방, 총채벌레 방제하기 위해 살충제를 살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검은점무늬병은 살포간격 을 15일 또는 20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현장에서 방제를 하고 있지만
살포후 강수량이 200mm전후 되었을 시점에 살포하시면 방제가 가능하리라고 판단됩니다.
주요지역별 강수량 확인은 제주특별자치도 재난안전대책본부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주소는 https://bangjae.jeju.go.kr/real timeinfor/rainfallinfo/total/jeju.htm) 입니다.
휴대폰에 크롬검색기에서 검색하고 즐겨찾기에 저장해서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 검은점무늬병의 경우 살포일 이후의 강수량을 확인해보시고 방제를 하시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감귤원에 고사지가 많으면 방제를 하여도 방제효과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근본적인 방제는
과수원에 고사지 제거작업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겠습니다. 살포한 약액이 마를 수 있을 정도의 날씨가 된다면 방제작업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살충제는 과수원에 열매 달린량에 따라 여름순 순발생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순 발생이 많으면 진딧물, 귤굴나방, 총채벌레 등 발생량이 많을 수 있어 지난번 방제 후 효과등을 예찰하시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재살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살충제의 경우 농장에 발생한 해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방제를 해야하기 때문에
살충제와 검은점무늬병을 반드시 동시방제 할 필요는 없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서귀포 농업기술센터 감귤지도팀(760-7831~35)에 전화주시면 성실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 우리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다시 한 번 환영하며, 앞으로도 질문(요청)이 있다면 언제든 제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