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 귀하께서 질의한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총상화가 발생하는 원인은
1. 약전정으로 결과모지를 많이 남길 경우, 과도한 착과가 발생할 경우
2. 과다 착과, 수확이 늦어져 수세 회복이 덜 되었을 경우
3. 밀식으로 나무 햇빛 비침이 좋지 못하여 광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꽃생성에 양분이 부족할 경우
4. 수세약화로 인한 양분 불균형으로 잎의 광합성 저하로 충실한 꽃 형성에 영향을 줄 경우
5. 토양 환경 불량으로 뿌리 발달이 좋지 못하여 나무 전체 영양 흡수 저하로 수세가 약화될 경우
❍ 6월지는 늘어나는 가지 될 수가 있으므로 제거하는 것이 좋으나 너무 일찍 제거하여 여름순이 일찍 나올 경우 가을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7월 하순에 봄순 마디 밑에서 제거하기 바랍니다. 이후 나오는 여름순은 눕지 않고 도장지처럼 나옵니다. 여름순은 결과모지로 활용할 수 없으며,
수세회복으로만 활용가능합니다.
❍ 여름순 제거는 무독묘처럼 수세가 강한 나무는 다음해 봄전정에 제거시 수세가 더욱 강해져 화아분화에 영향을 줄수 있으므로 10월 하순 가을 전정 때 제거합니다. 일반묘처럼 수세가 적당하거나 약한 경우 다음 해 봄전정때 제거합니다. 만약 여름순 위에 가을 순이 있을 경우 총채벌레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가을 순이 보이면 바로바로 손으로 제거하고 예찰 후 총채벌레가 있으면 방제 하기 바랍니다. 예비지는 활용이 가능하나 무효공간이 넓을 경우 2~3년생 봄순(볼펜굵기)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서귀포농업기술센터 특화작목육성팀(760-7822~7823)으로 전화 주시면 성심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